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엔지니어 실무 연구노트/로봇&설계 스터디6

공대 적합성 체크리스트 내가 공대에 진학해서 잘 버틸 수 있는지 미리 점검해보고자 하는 테스트 항목 입니다. 점수를 합산해봤을 때 25점 이상 : 반드시 공대에 가시기를!18~25점 : 공대 진학에 매우 적합한 성향입니다.12~18점 : 공대에서 살아남기 적합합니다. 더 많은 테스트를 통해 제대로 자신을 파악해보세요.12점 미만 : 다른 분야를 찾아보세요. 억지로 가면 개고생합니다.. 2024. 5. 1.
[설계논문리뷰]로봇 손의 링크 구조 로봇 개발이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음에 따라, 로봇에 관한 연구를 더욱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논문 리뷰도 한번씩 하기로 했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연구는 "통합 링크 구동 방식의 민첩한 인간형 로봇 손" 원 제목은 입니다. 논문 핵심 요약 이 논문은 로봇 손의 개발에 관한 연구로, 특히 인간의 손과 유사한 수준의 민첩성과 감각 기능을 갖춘 인공 로봇 손의 설계와 구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15개의 자유도, 20개의 관절을 통해 높은 민첩성을 가지며, 최대 34N의 끝단력, 그리고 무게는 1.1kg, 햅틱 기능까지 구현하고 있습니다. 즉, 복잡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며, 사람과 로봇 간의 상호 작용에 매우 유리한 로봇 손 제작에 관한 내용입니다. Finger의 구조 논문에서 제공하는 Rob.. 2024. 3. 17.
인간의 손을 모방하는 로봇 손가락 메커니즘 분석_기초편 로봇 이야기를 전하는 롭스토리 입니다. 이번 주제는 "로봇 손가락 메커니즘 분석"_ 기초편 입니다. 공학 엔지니어와 과학자는 사람 혹은 동물의 움직임을 똑같이 구현하기 위해 계속 노력해 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요새 세계적로 매우 핫한 주제가 바로 "인간의 손" 모방입니다. 사람의 손이라는 것이 얼마나 신기한지 생각해보신 적이 있나요? 우리의 팔은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움직이면서, 원하는 물체, 바늘같이 얇은 물체부터 커피잔, 연필, 휴지, 종이와 박스, 플라스틱, 미끈미끈한 재질까지 잡아올릴 수도 있고, 그 촉감을 실시간으로 받아들이기도 합니다. 이게 얼마나 대단한 일이냐면, 미끈미끈한 물체를 잡을 때는 우리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손가락 끝에 힘을 더 주는 동시에, 피부는 적당한 탄성과 마찰을.. 2024. 3. 10.
로봇 만드려면 뭐 공부해야해요? - 로봇공학자가 되기 위한 필수학습 로봇공학 분야의 기구설계를 해오면서, 간혹 "로봇 분야로 가려면 어떤 공부해야 해요?" 라는 질문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질문하는 사람의 수준을 모르고, 정확히 어떤 것을 하고싶은지 모르는 상태에서, 정말 대답하기 난해한 질문이더군요.. 하지만 로봇에 대한 관심이 점점 사라지는 요즈음, 로봇을 공부하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는 것 자체가 환영할만한 일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국내에도 로봇공학자가 더욱 많아져야 이 무서운 인공지능 세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 같기도 해요. 그래서 오늘의 이야기는, 로봇 개발을 하기 위해 어떤 것을 배워야 하는지, 매우 러프하게(?) 적어보려 합니다. 1. 로봇 개발을 위한 필수 학문 로봇 하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매우 광범위한 지식을 필요로 합니다. 고등학생부터 이과.. 2024. 2.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