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로봇 이야기를 전달하는 롭스토리 입니다.
혹시 로봇 청소기가 어떤 기술을 가지고 있는지 생각해보신 적이 있나요?
집안을 알아서 깨끗하게 청소해주는 청소로봇,
이 작은 기계에는 로봇공학, 인공지능 등 최신 기술들이 집약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이러한 로봇 청소기가 어떻게 작동하고 우리 집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로봇 청소기의 작동 원리
1. 기본 메커니즘
로봇 청소기는 자율주행 차량과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눈' 역할을 하는 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이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청소 경로를 계획합니다. 로봇은 방안의 여러 장애물을 피하고, 청소 영역을 파악하여 청소를 수행하게 됩니다.
2. 동력전달 시스템
로봇 청소기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바퀴에 연결된 모터입니다.
이 모터는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받아 바퀴를 회전시키고, 바퀴를 통해 로봇은 집안 곳곳을 돌아다니면서 청소가 가능하게 되는데요, 모터의 효율성이 좋아야 그만큼 청소기가 오래동안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성능을 좌우하는 요소중 하나입니다.
3. 청소 기능
로봇 청소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결국 청소 능력이죠!
예전에, 요새 청소로봇 기능이 너무 좋아져서 이것저것 다 너무 잘한다. 청소만 빼고
라는 우스갯 소리가 있을 정도로 참 기능이 많습니다.
하지만 청소로봇이 청소를 못하면 무슨 소용인가요!
로봇 청소기의 청소는 주로 브러시와 진공 모터의 조합으로 이루어집니다. 브러시가 바닥의 먼지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휘저어 올리고, 진공 모터가 이를 흡입하여 먼치통에 모으게 됩니다. 여기에 센서가 바닥 상태를 감지하여 청소 방식을 조절하는 고급 기능을 갖춘 모델도 나오고 있습니다.
사물 인식 방법
1. 센서 기술 발전
로봇 청소기에 탑재된 센서는 광학센서, 충돌감지 센서, 거리센서 등 다양합니다.
이러한 센서들을 통해 로봇은 주변 환경을 인식할 수 있고, 장애물을 피하며, 계단을 감지하는 등의 자유로운 이동을 할 수 있습니다.
센서를 어떻게 사용하고 활용하는지는 너무나도 중요한 요소인 것이죠.
2. 카메라와 LIDAR
LIDAR는 주변 환경을 3D로 매핑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자동차의 자율주행 기술에서 많이 사용되는 기술이며, 로봇이 주변 공간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고, 더 효율적인 청소 경로를 계획하는 데 도움을 주게 됩니다.
3. 인공지능
로봇청소기에도 인공지능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로봇 청소기를 새로운 환경에 갖다 놓고 청소를 시작하게 하면, 처음에 여기저기 벽에 쿵 쿵 박고, 장애물에 부딪히고 하면서 점차 환경을 학습하게 되고, 시간이 지나면 더욱 효율적인 경로를 생성하여 청소가 가능해지게 되는데, 인공지능 기술이 없다면 로봇은 매번 같은곳에 쿵 쿵 박고 제대로 청소를 할 수 없을 것입니다.
요새는 자동 충전기술도 나오고 있고 청소기능 자체를 강화시키기 위한 연구개발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구석진 곳도 청소를 잘 할 수 있어야 하고, 묵은 때를 벗겨낼 수 있을 정도의 물청소 기능.
아직도 로봇청소기가 가야할 길은 끝이 없습니다.
청소기를 쓰는 이유는 결국 사람을 대신하기 위함인데, 현재 로봇청소기는 대부분 바닥청소만이 가능한 형태입니다.
구글이 발표한 Mobile Aloha나 테슬라의 옵티머스 같은 로봇들은 미래에 가정에 들어올 로봇들에 대해 기대하게 만들어 주는데요. 단순히 바닥을 왔다갔다 하면서 먼지를 흡입하는 것에서 멈추지 않고,
쇼파 위에있는 물건을 정리한다던가, 바닥에 있는 물건을 집어서 원래 위치에 갖다놓는다던가.
팔이 달린 로봇이 때로는 빗자루로 먼지를 쓸고, 다른 도구로 물청소를 한다던가.
그런 것들이 이제는 공상 영역이 아니라 현실 영역으로 들어오고 있다고 생각될 정도입니다.
인간은 대체 어디까지 편리해지기를 바랄 것이며, 로봇은 사람을 어디까지 편리하게 만들어줄 것인지
너무너무 궁금하네요ㅎㅎ